가을이 깊어 가고 있습니다.가을 국화가 만발하고 단풍들었던 잎들은 이제 겨울을 준비하려 낙엽을 떨구고 있습니다.낙동강엔 겨울을 나기위해 철새들이 속속 도착하고 있습니다.바다도 뜨거웠던 여름을 기억하며 편안히 겨울바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늦가을 바다에서 님들과 만나고 싶습니다.다대포 해수욕장에서 깨끗한 겨울 바다를 준비합시다...^^날이 쌀쌀하니 따뜻하게 입고오세요.* 일시 : 11월 20일 아침10시 30분* 장소 :...
블로그
11월13일 생명학교
[겨울철새 탐조]낙동강하구 을숙도와 낙동강 둔치에서 철새를 만나요~ 10만여 마리의 철새들이 쉬어가는 철새들의 낙원, 을숙도에서 철새를 만납니다.1983년부터 시작된 낙동강 하구둑 공사 때문에 을숙도의 절반 가량인 갈대 숲은 완전히 물 속에 가라앉게 되어 매우 아쉬우나.. 아직도 세계적인 희귀조인 재두루미, 저어새, 흰꼬리수리 등이 날아와 겨울을 나는 모습은 장관을 이룬답니다.1. 일 정09 : 20 부산진역 집합(지각하지...
11월 19일 <회원의 날> 행사
부산녹색연합 상반기 회원의 날 행사가 비로 취소되고 많이 아쉬웠습니다. 가을날 풍요로운 들판에서 수확의 기쁨을 함께 나누는 행사를 올해는 갖지 못했습니다. 사무국의 사정이 여의치 못해 여러분께 죄송한 마음 많습니다. 늦었지만 에 찾아온 반가운 들을 만나러 가려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환한 얼굴 뵙고 싶습니다.- 일 시 : 11월 19일(토) 오전 10시...
주민 곁으로 돌아온 호리카와천(일본 사례)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18926호나고야 시가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길이 16.2km의 호리카와천은 원래 나고야성에 물자운송을 위해 지난 1610년에 조성된 인공하천이었다. 이 하천은 지난 1950년대 이후 나고야시가 산업도시로 급성장한 여파로 수질이 악화되면서 수생동식물들이 자취를 감추고 코를 찌르는 악취가 시민들을 괴롭힐 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은 또 다른 생명의 탄생을 예고했다.호리카와천의 재생을 염원하는 시민운동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지난...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야마자키천(일본 사례)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18926호매년 어김없이 10여개의 태풍이 내습하는 일본 나고야시. 60~70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로 하천의 수질오염이 극심. 도심하천의 대부분이 건천화돼 도심의 하수구와 다름 없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본래의 자연형태를 찾아 복원하자는 시민단체들의 하천복원운동과 환경개념을 도입한 하천법개정으로 완전히 탈바꿈하고 있다.나고야시는 지난 97년 하천법 개정이후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순환의 축이 되는...
살아난 안양천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18920호안양천에 생명이 돌아왔다. 과거 안양천은 도심속 하수구에 불과했다.지난 85년 하천수질의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은 무려 193ppm. 생물이 살 수 없는 죽음의 하천이었다. 1998년초. 이를 보다못한 관내 21개 시민환경단체와 8개 기업체가 안양천살리기 네트워크를 만들고 ,민간 네트워크에 자극받은 지자체가 이듬해 14개 지자체 안양천 수질개선대책협의회를 발족해 본격적인 하천살리기에 나섰다.그러기를 6년여. 지난해...
우리나라 하천 살리기 문제점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18908호 일본과 독일 등을 중심으로 하천 환경 복원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자연 친화적 하천 살리기 붐이 일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안양천과 수영천 등 하천복원 현장에서 훌륭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하천 살리기는 언론과 일반 시민들의 높은 평가와는 달리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안고...
무분별한 복개 반성, 보전의식 확산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 18908호전국의 도시하천 상태는 열악하다.부산의 경우 48개 하천 중 22개 하천이 시멘트 등으로 복개돼 물의 정상적 흐름과 생태이동 통로를 가로막고 있다.전국적으로 3천 986개 하천(전장 3만 197km)중 4.4%인 177개소(전장 243km)가 복개돼 햇별과 공기 소통 등이 원활하지 않은 죽음의 하천으로 방치되어 있다.이 때문에 정부는 도시의 특성과 연계된 테마형 생태하천을 조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내년부터는 하천을 콘크리트로...
시민의 곁으로 되돌아오는 도시하천
내용 출처 : 부산일보 제18908호 (2005년 7월 20일)오염의 대명사로 불리던 도시하천들이 시민의 곁으로 돌아오고 있다. 한때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무분별하게 복개되고 오폐수로 방치되던 도시 하천에 생명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하고 있다.최근 도시 하천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들이 전국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업이 지자체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정작 주민들로부터 외면받는 사례도 많다.또 생태하천 조성계획 자체가 하천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지...
10월 바다정화활동
10월 바다정화활동이 다가왔습니다.여름의 그 소란스럽던 바다는 가으로 가을 분위기로 고즈넉합니다.높아진 하늘과 더욱 푸르러진 바다는 우리의 마음을 넉넉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가을햇살과 가을 바람을 맞으며 정다운 분들과 바다정화 하겠습니다.많이 들 오십시오...* 장소 : 송정 구덕포* 시간 : 10월 16일 10시 30분아직햇살이 따갑습니다....
10월 9일 낙동강하구 생명학교
[농촌체험]무척산 자락에서 단감따고 놀아요~ 결실의 계절 가을에 낙동강하구 생명학교 어린이들과 농촌체험을 합니다. 장소는 삼랑진 남쪽 낙동강에 면해 있는 김해 생림면. 피아노 보다는 낡은 풍금이 어울리는 곳. 단감도 따고, 고구마순도 따고, 널뛰기도 하고, 줄당기기 놀이도 하고..... 집으로 돌아갈때는, 손수 딴 단감 몇 알 주머니에 넣어갈겁니다^^ 1. 일 정09 : 20 부산진역 집합11 :...
낙동강 생물 특별전
낙동강 생물 특별전」행사 개최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에서는 우리 부산의 정맥인 낙동강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명체 확인과 낙동강 환경보존의 가치를 제고하는 을 오는 9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76일간 마련하였다. - 일 시 : 9월 15일~11월 30일- 장 소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금강공원 내 위치)- 찾아가는방법 : 지하철 온천장역에서 금강공원(자연사박물관)까지 도보 혹은 택시(기본요금) - 박물관 입장료 : 어린이 600원(단체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