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2004 낙동강 하구 철새 기행

"아름다운 지구인의 날"낙동강 하구는 18종의 천연기념물 조류를 포함해 한해 200여종 1만~20만 마리의 새가 찾아옵니다.  람사협약(Ramsar Convention·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을 충족하는 한국의 대표적 철새 도래지입니다.이곳 낙동강 철새공화국에 주인이 찾아왔습니다.부산녹색연합에서는 다시 찾아온 철새가족을 반갑게 맞이하는 탐조행사를 가집니다* 일정 * * 9: 20 ... 출발 비가오지 않을까~~염려를 뒤로한채...

11월 28일 생명학교

"신이 내린 축복의 땅" 쉼없이 꿈틀대는 땅,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한국 최고의 습지이며, 해마다  천연기념물새들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가끔씩 낙동강이 식수인지도 잊어버리고 낙동강을 등한시 하지만 철새들은 낙동강을 무척 좋아 합니다.다른 지역에서는 일부러 부산에 와서 새를 봅니다. 한 예로 서산에는 솔개, 황조롱이등은 볼수가 없다는데. 부산은 다대포나 명지갯벌을 가면  우린 쉽게 볼 수 있거든요.우리는 새가 많이 오는 것이 당연하다고...

11월7일<체험속의 시민강좌3>소래농장 방문

무농약으로 재배하고, 유기질 퇴비로 키우는 상추, 치커리, 열무, 고추냉이, 케일,고추, 고구마, 감자, 등, 등.....   땅과 생명을 살리는 유기농 야채와 채소들을 생산하는 소래농장을 다녀왔습니다.가족 단위로 참여하여 어른, 아이 나누어서 진행되었습니다.어른들은 따뜻한 방에 둘러 앉아서 엄마의 선택과 아이들의 안전한 먹거리를 주제로박영경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아이들의 먹거리와 식습관이 인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제로 주변에서...

2004.10월17일 <체험속의건강강좌2> 경주녹동리 유기농생산지 다녀왔어요~~

*유기농과 생태적 식생활에 관심이 많은 분들과  자녀에게 다양한 경험을 해주고 싶은 부모님들이 아이와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행사를 선호하여 신청자가 많았습니다.신청자를 모두 수용 할수 없었고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80명으로 인원을 제한하였음에도 101명이 다녀오게 되었습니다.경주 녹동리에서 유기농으로 논농사, 밭농사, 과일농사를 지으시는 서동우님, 유미경님 부부는 귀농하기 전에는 환경운동과 약사를 하셨던...

경주 녹동리 현장1

황토염색중인 아이들옛날에는 이런 기구로 탈곡을 했다고 하는군요경주녹동리 서동우 농부님..  이날 많은것을 가르쳐 주셨습니다.손으로 탈곡하는 모습입니다.  농기구가 발달되기 전에는 이런식으로 탈곡했다는군요손으로 탈곡하는 과정을 설명해주는 서동우농부님이전것 보다 발달된...

<곡류를 이용한 음식축제 시연회>가 열렸습니다.

● < 곡류를 이용한 음식 축제 시연회 >가 열렸습니다 ● < 곡류를 이용한 음식 축제 > 공모에 채택된 11개의 요리 시연회가2004년 10월 25일 열렸습니다.이번 행사는 시민이 만들어 가는 참여의 장으로서 우리 땅에서 생산된 곡류로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살리는 요리를 제안 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땅에서 생산되는 곡류의 소비 증대 촉진을 도모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하여 생활 속에서 실천하여 생태적인 식생활로 변화하는 움직임을...

볕짚을 이용한 놀이

▣ 볏짚을 이용한 농경도구 등  벼를 베어 수확이 끝나면 수확된 볏단을 개상(통나무 몇 개를 엮은 것)에 태질하여 곡식을 떨어 내고 떨어 낸 벼는 매통에 갈아 곁겨(왕겨)를 벗겨 놓는다. 속겨가 붙은 채인 매조미(현미)는 방아(디딜방아, 물방아, 물레방아, 연자매 등)로 찧어 백미를 만든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볏짚, 왕겨, 속겨, 쭉정이 등이 부산물로 나온다. 이 부산물들은 열에너지로 사용되어 군불을 때거나 밥짓는 데 쓰이며 남은 재는 재거름으로 쓸 수...

우리쌀 알고 먹읍시다.

한국의 고고학자 안승모의 저서 "아시아 재배벼의 기원과 분화(학연문화사 1999)" 를 참고, 고고학적 증거를 종합하여 볼 때 중국의 양자강 중류에서 하류지역이 아시아 재배벼의 기원지로 추정되며 이곳에서 재배되던 벼가 양자강 상류 운남을 거쳐 태국 북부에 도입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한편으로는 중국 동해안을 따라 동남북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야생벼현재 우리가 재배하는 벼는 어떤 야생종에서 분화 발달해 야생벼에서 재배벼로 다양한 유전적인 변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