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 명지대교건설반대를 위한 집회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 을숙도를 통과하는 부산 명지대교 건설에 대한 시민환경단체들의 반대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녹색연합(부산, 대구, 인천, 광주전남, 대전충남, 성남, 공주, 전주, 환경소송센터) 활동가들과 실무자가 공동으로 규탄집회를 갖는다. 을숙도 남단 갯벌은 겨울이면 1천마리 이상의 고니떼와 기러기 무리 등이 늘 이용하는 철새도래지의 핵심지역으로 명지대교는 서식처 파괴는 물론 주변 환경의 악화로...
블로그
녹색연합 전국 활동가 집회
낙동강하구(명지)대교를 생명과 평화의 물결로!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 을숙도를 통과하는 부산명지대교 건설에 대한 시민환경단체들의 반대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녹색연합(부산, 대구, 인천, 광주전남, 대전충남, 성남, 공주, 전주, 환경소송센터) 활동가들과 실무자가 공동으로 규탄집회를 가진다.을숙도 남단 갯벌은 겨울이면 1천마리 이상의 고니떼와 큰기러기가 늘 이용하는 철새도래지의 핵심지역으로 명지대교는 서식처 파괴는 물론 주변 환경의 악화로...
8/25 부산시 전진 행정부시장의 발언에 대한 성명서 조회 : 1186
부산시의 낙동강하구에 대한 몰이해와 시민단체간의 국제연대에 대한 몰상식을 개탄한다. -전진행정부시장의 '일본X이 여기에 왜 왔나', '낙동강하구에 새가 어디 있나' 라는 25일의 발언에 대하여-25일 아침 10시경 부산시청을 방문한 을숙도명지대교건설저지를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 관계자와 낙동강하구 한일공동조사에 참가한 일본 NGO 대표들을 향해 전진 행정부시장은 부산시 행정의 책임자로서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발언을 하였다.시민연대와 일본NGO 관계자...
낙도강하구를 생명과 평화의 물결로! 부산시민 문화대기행
낙동강하구를 생명과 평화의 물결로! 낙동강하구 보전을 촉구하는 시민대기행 낙동강의 운명을 뒤바꿀 명지대교의 최종결정이 임박했습니다. 이에 낙동강하구를 사랑하는 모든 부산시민의 뜻을 담아 낙동강하구가 부산시민의 마음의 고향으로 영원히 할 수 있도록 낙동강하구 보전을 촉구하는 부산시민 대기행을 아래와 같이 하고자 합니다. 이를 널리 홍보하여 우리 부산의 세계적 자연유산인 낙동강하구가 보전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갯벌시위시작, 일본조사단-부산시청방문후 지지방문
■ 낙동강하구(명지)대교 직선화를 반대하는 명지갯벌 24시간 상주 1인 시위 시작 · 낙동강하구 주요 쟁점지역(명지대교 직선안의 마무리 경로, 명지주거단지 고층화 계획의 현장)인 명지갯벌 현장에서 명지대교 직선화 계획과 같은 무모한 개발과 이로인한 생명파괴의 문제점을 함께 나누고, 이를 반대하는 을숙도 시민연대의 의지를 밝힌다. ⊙ 일시 : 8월 24일 오후 6시부터 ⊙ 기간 : 8/24 -...
명지대교가 생명,평화로 되살아나기를 염원하는 을숙도연대 성명서
우리는 모두 낙동강하구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고 있다. '신이 내린 축복의 땅 낙동강하구'라고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소중한 자연유산이 부산에 있음에 대해 커다란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을숙도 시민연대 뿐만 아니라 침묵하는 대다수의 부산시민, 그리고 부산시조차 공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의 중요성과 보전의 필요성을 깊이 동감하고 있으며, 우리의 과제는 부산시민이 얼마나 현재와 미래의 건강한 생태계를...
낙동강하구 생태계, 한·일 공동조사 실시중
낙동강하구 생태계의 건강성은 저서생물의 다양성에 달려 있으며, 이를 알 수 있는 지표는 조류이다. 얼마나 다양한 조류가 낙동강하구를 찾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낙동강하구에 얼마나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저서생물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는 낙동강하구의 생태계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인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조사와 보전을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문화재청, 명지대교에 대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도 1인 참여전문가로 위촉 그 동안 명지대교 허가여부를 유보하고 있던 문화재청이 최고심의기구인 문화재위원들의 요청에 따라 를 8월 27일 개최한다. 문화재위원들의 이 같은 요청은 이제껏 유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들의 심적부담을 반영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에 대해 신중을 기하려는 문화재위원들의 태도는 명지대교의 반생명성·파괴성과 이로 인한 낙동강하구문화재보호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환경모니터 보고서
- 아시아드 주경기장 현장 모니터링 보고서 - ▶ 일시 : 2001년 9월 16일 ▶ 내용 : 2002 월드컵·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개장기념 축구국가대표팀 평가전 한국 대 나이지리아 경기 모니터링▶ 목적 : 2002년 월드컵과 아시안 게임이라는 중요한 두 국제 경기가 열릴 주경기장이 오랜 기간의 공사를 끝내었다....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환경 모니터 현장사진
2001년 9월 16일 아시아드 주경기장 개장기념식 및 축국국가대표팀 평가전 한국 대 나이지리아와의 경기가 있었습니다.처음으로 시민들에게 선보이는 경기장의 시설 및 환경이 어떠한지 경기장의 환경전반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했습니다.부산녹색연합 실무진뿐만 아니라 녹색도시21추진협의회와 부산환경운동연합회원 모니터요원 11명이 경기시작전 쓰레기 줄이기와 분리수거,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홍보전도 가졌습니다.경기전과 경기가 끝날 때까지 실시한 모니터 결과는 첨부한 보고서를 참고하시고 그날...
녹색평론 기고문 : 을숙도 명지대교 건설을 반대한다
낙동강하구가 개발과 보전이라는 논리 앞에서 다시 한번 위기를 맞고 있다. 부산시가 명지대교 건설계획을 강행하면서 지난해부터 반대하는 시민환경단체와 끊임없이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시는 낙동강하구에 대한 보전의 요구가 강해지자 한편으로는 낙동강하구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전의 의무를 선언하면서, 그 이면에서는 개발에 대한 욕구를 강력히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부산시의 이중적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 바로 명지대교 건설 계획이다. 부산시는 환경친화적인 다리를 건설하겠다고...
낙동강하구 총체적위기에 대한 부산시민환경선언 기자회견
낙동강하구 총체적위기에 대한 부산시민환경선언및 을숙도 시민연대 확대재편성 기자회견을숙도 명지대교를 중심으로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공감대의 형성과 관심에 힘입어 참가하는 시민단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부산정토회, 전교조, 민주노총, 부산부산정보연대, 부산빈민연대회의, 민중연대, 문예패들이 연대참가를 결정하여 총 57단체(부산 26단체)가 연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관심과 요구를 모아 는 7월 24일 기자회견을 가지고 과 의 구체적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