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간단 설명]
1. 자연하천 정비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하천을 말한다.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는 장소로 오염원을 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2. 자연형 하천 하천을 정비할 때 자연하천 본래의 기능과 모습을 최대한 살려서 정비한 하천을 말한다. 현재 많은 도시하천이 자연형 하천으로 정비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각 하천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하천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한 예산 낭비도 심각하다.
3. 도시하천 도시지역 내에 있는 하천으로 인간위주의 도시 개발과 하천 정비로 인해 하천 본래의 모습을 거의 찾을 수가 없다. 하천의 직선화와 하안, 둔치, 제방의 콘크리트 정비, 하천의 하수도화, 하천 복개를 통한 주차장과 도로이용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도시하천] 도시에서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공간은 어떤 곳이 있을까? 바로 산과 하천이다. 하지만 산에는 중턱까지 아파트가 들어서 있고, 집 앞에 있는 하천은 복개되어 주차장이 되어있다. 우리집 앞에 흐르는 하천에서 물고기도 잡고 꽃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하천에는 시멘트와 콘크리트로 둘러싸여 가까이 갈 수도 없고 생활하수가 흘러 하수도 냄새가 난다.
1. 하천의 직선화 정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하천은 물길이 뱀이 기어가는 모양(사행)으로 구불구불하게 흘러 다양한 형태(여울, 소)의 하천 모양을 만들어 낸다. 이런 자연하천에는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 반면 도시 하천의 모습은 직선이다. 장마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직선으로 정비된 하천에는 유속이 빨라 생물이 다양하게 살지 못한다. 또한 하천 바닥이 많이 패이고 많은 물이 하류지역에 한꺼번에 도착하여 홍수가 나기도 한다.
2. 하천 둔치 토지 이용 둔치는 홍수시 물에 잠기는 곳으로 다양한 습생식물(갈대, 미나리, 달뿌리풀)과 육상식물이 살고 잇는데, 이러한 하천 식물들은 물의 정화작용 뿐만 아니라 수서생물과 새들의 서식처, 먹이 공급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하천의 둔치는 대부분 콘크리트로 정비되어 주차장 또는 도로, 운동장 같은 시민 체육시설로 이용되어 삭막한 모습만을 볼 수 있다.
3. 하천변의 콘크리트 호안과 제방정비 그리고 하천의 건천화 여러 개의 지천이 하천에 합류되고 지하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천의 물은 하류로 갈수록 많아진다. 하지만 도시하천은 하류로 내려 갈수록 물이 말라 하천의 바닥이 보이는 경우가 많다. 빗물은 모두 생활하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들어가고 지하수 역시 호안과 제방의 정비로 인해 차단되어 하천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하천유역의 제방과 호안을 녹지로 조성하고 도로는 물이 스며들 수 있는 재료로 정비되어야 한다.
4. 하천 복개를 통한 도로, 주차장 이용 부족한 도시의 도로와 주차장을 하천을 복개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하천이 복개되면 빛이 전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생물은 전혀 살 수가 없다. 복개된 하천은 단지 생활하수와 공장폐수를 버리는 하수도가 되어 버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