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한국 원전 비상계획구역 확대하라”
“IAEA 기준인 30㎞ 내 인구, 고리만 343만 명…세계 3위, 방사능 사고 땐 재앙 올 것”
- 국제신문
- 하송이 기자 songya@kookje.co.kr
- 2013-07-10 21:26:35
- / 본지 2면
- 덧글 (0)
- 좋아요 (0)
![]() |
|
10일 오전 그린피스 관계자들이 부산크루즈터미널에 정박해 있는 친환경 전용 선박인 레인보우 워리어 Ⅲ호에서 고리원전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대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동하 기자 kimdh@kookje.co.kr |
– 부산 정박 레인보우 워리어
– 내일부터 이틀간 일반 개방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0일 우리나라 방사능 방재대책이 실효성이 없다며 전면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는 이날 오전 부산 영도국제크루즈터미널에 정박 중인 환경감시선 레인보우 워리어Ⅲ 선상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사능 방재계획 2013:한국은 준비되지 않았다’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린피스는 우선 원전 반경 8~10㎞로 정해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국제원자력 기구의 기준에 맞춰 30㎞로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발제자로 나선 서형림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플루토늄 등 치명적인 물질은 30㎞ 이내에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일본 후쿠시마도 반경 20㎞, 부분적으로는 50㎞까지 오염이 확산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벨기에와 핀란드가 20㎞까지, 헝가리가 30㎞까지를 비상계획구역으로 설정했다.
![]() |
|
사진은 레인보우 워리어 Ⅲ호의 외부 모습. |
특히 한국은 원자력발전소 30㎞ 내에 405만 명이 살고, 고리지역에만 343만 명이 거주하는 등 원전 30㎞ 내 인구 밀집도가 세계 3위 수준이라 사고가 나면 재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캠페이너는 “부산은 세계 5위의 대규모 항구도시라 사고가 나면 그 경제적 피해는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사고의 가능성을 줄이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명이 다한 원전 폐쇄 등 안전기준 강화 ▷유럽 원전사고 발생 시 시뮬레이션 결과를 담은 오스트리아의 Flexrisk와 같은 사고 영향 연구 ▷충분한 방호약품 마련 ▷사고 발생 시 무한책임제 부활 ▷현실적인 대피전략과 구체적인 후속조치 방안 수립 등을 제시했다.
이날 회견에는 이철상 부산시의원과 최수영 부산반핵시민대책위 위원장도 참석했다. 그린피스는 이날 회견에 이어 12, 13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레인보우 워리어Ⅲ 오픈보트 행사를 연다. 레인보우 워리어Ⅲ는 그린피스가 처음으로 자체적으로 설계한 환경감시선이다. 특히 배의 모든 부품은 전 세계 개인 후원자 10만 여 명의 기부로 조달됐다. 한국 방문은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