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간담회의 간략한 내용.
J : 일본(한일시민투어), K : 한국(고리핵발전소 인근지역 주민)
Q : 질문, A : 답변
JQ : 사는 곳은?
KA : 인근(핵발전소로부터 700M)
JQ : 대한민국에 이만큼 가까운 곳에 사람이 사는 핵발전소가 또 있는가? 최근 일본에선 1KM 인근에 지역주민이 사는 곳에 핵발전소를 짓겠다는 계획이 나온 적은 있다.
KA : 없다.
JQ : 운영은 잘되고 있는가?
KA : 운영, 감시 모두 잘 안되고 있다. 비리사건만 봐도 알수있다. 핵발전소개발추진이 정부공식정책이다.
JQ : 수명연장가처분신청결과는?
KA : 법정공방에 지역이 참여하진 않았다. 지역에선 1차 수명연장까지는 인정. 이후는 불가할 방침.
KQ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켄카이와 센다이의 발전소를 방문한 적이 있다. 사고가 있은 후인데도 그 지역 공무원은 원전의 안전을 확신하고 있었다. 왜 그런가?
JA : 부끄러운 일이지만 국가위계질서가 경직되서 그런 듯 하다. 왜 그랬는지는 우리도 이해 할 수 없다.
KQ : 후쿠시마 사고로 많은 곳이 오염된 것으로 알고있다. 헌데 정부 공식 발표는 토양오염에 관한 것 뿐이다.
JA1 : 정부의 사고수습 움직임이 엉망이다. 사고 직후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에게 사고사실을 알리는 것이 늦어져 아무것도 모르고 야외활동을 한 사람이 태반이다. 실수로 고농도 방사능 오염지역으로 사람들을 피신시킨 적도 있다. 후쿠시마 사람들 중 요오드제를 제대로 보급받은 사람들은 몇 되지 않는다.
JA2 : 큐슈지역의 특산물은 문어와 오징어이다. 팔기는 팔아도 현지인들은 먹지 않는다. 핵발전소 온배수 때문에 열대어가 근처 바다에 많이 산다.
KA : 우리도 많아요.(해양생태계 파괴를 농담처럼 언급한 부분)
KQ : 이 지역 주민들의 갑상선앞 발병율은 타지역보다 높은 편이다. 일본은 어떤가?
JA : 아직은 드러난 것은 없다. 체르노빌도 3년후부터 발생율이 오르기 시작했다.
KQ : ‘원전 주변지역 지원법’과 같은 것이 일본에도 있나?
JA : 도쿄전력에다 지원, 보상비를 신청하려면 많은 양의 서류가 필요하다. 게다가 지진사고보상은 되나 핵발전소로 인한 피해보상은 되지 않고 있다.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는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10년정도 기간의 통계자료가 필요하나 이미 그 시간이 지나면 피해보상을 받았어야 할 사람들은 이 세상 사람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원전 주변지역 지원법’은 한국의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재산상의 피해보상을 위한 법이다. 통역상 오류로 일본의 사고수습, 재해보상과 같은 개념으로 전달이 된 듯 하다.)
KQ : 주민들은 외롭다. 보상은 물질적 보상 위주다. 지역정치도 발전소에 대해선 얘기하길 꺼려한다. 이미 근본적인 해결은 어렵다고 보는 듯 하다. 같이 공유하고 힘을 합쳤으면 한다.
JA : (공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