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목) 탈핵과 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국원전지역 한일시민투어

2013년 7월 4일 | 활동소식

탈핵과 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국원전지역 한일시민투어(이하 한일시민투어)가 지난 19일부터 진행되었습니다. 한일시민투어는 한국과 일본 각지역에서 탈핵운동을 전개해오고 있는 지역주민조직, 시민단체들이 한일 교류를 통해 원전과 탈핵운동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연대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이번 한일시민투어에는 반핵부산시민대책위, 한국 원폭 2세 환우회 등, 일본측에서 20여명, 전국에서 10여명이 참가하여 한국 원전 지역을 순회하며, 6월 20일 목요일 부산 고리에 도착했습니다.

CJ헬로비전 헬로TV부산뉴스 / 25초~5분 40초 / 플러그인 필요.

고리원자력홍보관

지역주민과의 간담회
다음은 간담회의 간략한 내용.
J : 일본(한일시민투어), K : 한국(고리핵발전소 인근지역 주민)
Q : 질문, A : 답변

JQ : 사는 곳은?
KA : 인근(핵발전소로부터 700M)

JQ : 대한민국에 이만큼 가까운 곳에 사람이 사는 핵발전소가 또 있는가? 최근 일본에선 1KM 인근에 지역주민이 사는 곳에 핵발전소를 짓겠다는 계획이 나온 적은 있다.
KA : 없다.

JQ : 운영은 잘되고 있는가?
KA : 운영, 감시 모두 잘 안되고 있다. 비리사건만 봐도 알수있다. 핵발전소개발추진이 정부공식정책이다.

JQ : 수명연장가처분신청결과는?
KA : 법정공방에 지역이 참여하진 않았다. 지역에선 1차 수명연장까지는 인정. 이후는 불가할 방침.

KQ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켄카이와 센다이의 발전소를 방문한 적이 있다. 사고가 있은 후인데도 그 지역 공무원은 원전의 안전을 확신하고 있었다. 왜 그런가?
JA : 부끄러운 일이지만 국가위계질서가 경직되서 그런 듯 하다. 왜 그랬는지는 우리도 이해 할 수 없다.

KQ : 후쿠시마 사고로 많은 곳이 오염된 것으로 알고있다. 헌데 정부 공식 발표는 토양오염에 관한 것 뿐이다.
JA1 : 정부의 사고수습 움직임이 엉망이다. 사고 직후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에게 사고사실을 알리는 것이 늦어져 아무것도 모르고 야외활동을 한 사람이 태반이다. 실수로 고농도 방사능 오염지역으로 사람들을 피신시킨 적도 있다. 후쿠시마 사람들 중 요오드제를 제대로 보급받은 사람들은 몇 되지 않는다.
JA2 : 큐슈지역의 특산물은 문어와 오징어이다. 팔기는 팔아도 현지인들은 먹지 않는다. 핵발전소 온배수 때문에 열대어가 근처 바다에 많이 산다.
KA : 우리도 많아요.(해양생태계 파괴를 농담처럼 언급한 부분)

KQ : 이 지역 주민들의 갑상선앞 발병율은 타지역보다 높은 편이다. 일본은 어떤가?
JA : 아직은 드러난 것은 없다. 체르노빌도 3년후부터 발생율이 오르기 시작했다.

KQ : ‘원전 주변지역 지원법’과 같은 것이 일본에도 있나?
JA : 도쿄전력에다 지원, 보상비를 신청하려면 많은 양의 서류가 필요하다. 게다가 지진사고보상은 되나 핵발전소로 인한 피해보상은 되지 않고 있다.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는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10년정도 기간의 통계자료가 필요하나 이미 그 시간이 지나면 피해보상을 받았어야 할 사람들은 이 세상 사람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원전 주변지역 지원법’은 한국의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재산상의 피해보상을 위한 법이다. 통역상 오류로 일본의 사고수습, 재해보상과 같은 개념으로 전달이 된 듯 하다.)

KQ : 주민들은 외롭다. 보상은 물질적 보상 위주다. 지역정치도 발전소에 대해선 얘기하길 꺼려한다. 이미 근본적인 해결은 어렵다고 보는 듯 하다. 같이 공유하고 힘을 합쳤으면 한다.
JA : (공감)
  

기자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