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3일 허구적 광역상수원 백지화 촉구 기자회견

2011년 12월 23일 | 활동소식



최근 낙동강시민행동이 입수한 -낙동강수계 청정수원 확보를 위한 타당성 조사 결과 국토해양부가 추진하고 있는 남강댐 수위 상승을 통한 107만톤 용수공금량 확보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토부는 사실을 은폐하고
부산시민들과 경남시민들에게 좋은 물을 공급하겠다고 하고
한편으로는 대구시의 달성공단 승인, 하남주물공단 계획 등
낙동강을 먹는 물로서는 포기하는 정책의 행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낙동강권 광역상수도 사업은
낙동강 살리는 사업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낙동강은 살아있습니다.
낙동강의 전구간의 70%이상이 BOD 1.5ppm 이내이며,
구미, 대구, 고령, 하국 구간이 2.5ppm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1997년 이후 위천공단저지, 오염총량제 도입 등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1,300만 유역 주민들이 끊임없이 요구하고
막아내고
지켜낸
모두의 성과물입니다.

만약 물의 수질이 좋지 않다면 강에 유입되는
외부 오염원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문제의 원인을 외면한재 오염되지도 않은 낙동강을 준설하거나, 본류에 4M 높이읭 보를 설치하거나 300만평 대구 달성국가곧단, 30만평의 밀양 하남 주물공단 계획 등

낙동강을 더 오염시키는 사업을 추진, 승인하고 있습니다.

이렇든 낙동강에 대규모 외부 오염원은 용인하면서

부산 경남에 남강댐 용수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은 낙동강 수질

개선 정책을 포기하고 죽이는 사업입니다.

이번 밀양 하남 지역에 이번에 추가로 허용된 55종의 업종별 리스트만 봐도 유해업종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염색 가공, 원유 정제처리, 농약제조,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 도금 등이 그렇습니다. 각종 화학약품이나 중금속을 배출해 내는 업종이다.

15km에서 7km로 상수원구역의 규제가 완화되었다는 말은 오염원을 줄일 수 있는 기술력이 뒷받침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저 더 강 가까이에 공장이 들어설 수 있게 되었다는 말일뿐입니다.

무엇보다 한번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환경재앙적이고

5년동안의 토목공사만 하다 끝날 비경제적 국책사업인

4대강 살리기는 사회적 합의가 없습니다.

무조건 밀어붙인다고 낙동강이 살아나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지닌 10년간 끊임없이 낙동강을 살리기 위해 애쓴 시민들의 노력을 짓밟고

토건세력을 위한 토목뉴딜 사업에 영남의 영혼이자 생명인 낙동강을 팔아먹으려는 대국민 사기극, 엉터리 계획인 4대강 물살리기 .

국토해양부가 내민 사업에 순순히 따라가는 행정이 과연 국민을 위한 것일까요, 토목회사들을 위한 것일까요.

허남식 부산시장과 김태호 경남지사는 낙동강에 대규모 토목공사나 준설공사가 추진되면 먹는 물 오염으로 당장 식수난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정치 생명을 늘이려
시, 도민들의 피와 땀으로 지켜온 낙동강을 헌신짝처럼 버리려 하고 있습니다.
정치란 누구를 위한 목소리를 내야 하는 것인지 생각해보았는지 의문입니다.



낙동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고, 중류지역의 대도시와 공단을 거쳐 온 하류의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부산의 처지에서 낙동강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입니다.

‘아프면 돈 든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낙동강 문제는 결국 경제에도 맞닿아 있습니다.
우리는 아파서 병원 갈일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깨끗한 물을 먹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낙동강 상수원이 안전하거나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해서 먼곳의 댐에서 물을 가져오는 것은 결코 근본적이거나 바람직한 대책이 될 수 없습니다.

만약 그 상수원이 부적합한 상황이 되었을 경우,

부산시민에게 안전한 상수원을 공급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합니다.

낙동강 시민행동(전_운하백지화낙동강시민행동)은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낙동강 시민권리 선언, 맑은 물 확보를 위한 시민 직접 행동, 바람직한 정책 대안 제시를 통한 심포지엄을 통해 부산시민의 맑은 물 확보와 낙동강 생태보전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