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의 이해】
▶ 6월 9일 진우도 생태조사
1. 전체 일정:
① 아미산: 낙동강하구의 전체 모습과 주위 환경 조사
– 1987년 낙동강하구둑이 생긴 이후 급속하게 주위의 환경이 변화.
– 수중 생물종의 변화, 심각한 수질오염, 지형 변화 심화(모래등)
② 진우도 생태조사: 낙동강하구에 있는 여러 모래섬중 하나인 진우도를 찾아 그곳에 살고 있는 다양한 생물들을 조사하고, 환경문제를 살펴본다.
③ 진우도 생태 조사 내용:
– 금모래 해변(염생 식물): 모래 지치, 통보리사초, 보리 사초, 띠풀, 갯메꽃, 달맞이꽃, 해당화, 갯그령(?)
– 소나무 오솔길: 뽕나무, 은사시나무, 미국 자리공, 인동덩쿨, 갯씀바귀
– 뻘 갯벌:길게, 칠게, 쏙, 콩게, 망두어, 민챙이
– 염생식물의 특징
·해변이나 해안사구와 그 주변에서 자라는 육상식물
·해풍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크기가 작고 특히 뿌리가 발달
·잎을 비롯한 각 기관이 두꺼우며 윤이 난다.
④ 이화확적 수질조사: 실시 하지 않음.(바닷물)
⑤ 환경문제
– 해변에 육지로부터 떠 내려온 쓰레기가 너무 많았다.
– 적조로 인해 바다의 오염이 심각했다.
– 기름에 날개를 다쳐 죽은 새를 발견했다.
▶ 6월13일 사랑방 교실
1. 진우도 생태조사 정리와 모둠 이름 짓기
①모둠이름: 띠풀 바람을 등지고서
– 발표자: 김홍대(하단중)
– 내용: 바닷가의 적조현상, 쓰레기가 너무 심각(썩지 않는것들..) ⇒ 환경을 보호하자.
②모둠이름: 자연의 돋보기(자연을 확대하여 오염과 아름다움을 보자)
– 발표자: 변아영, 김소라(석포여중)
– 내용: 진우도가 쓰레기 매립장 같았다. 고둥이 갯벌을 깨끗이 한다는 것과 죽은 생물은 흙으
로 돌아 간다는 것을 알았다.
③모둠이름: 무지개(진우도 갯벌에서 무지개를 보았음.
– 발표자: 이동화, 김경우 (초등학생)
– 내용: 쓰레기가 많다. 상괘이(고래), 쇠부리슴새(추정) 시체 발견, 사람들이 많이 찾아 온다.
2. 낙동강 물문제
① 낙동강의 여러 오염원들
– 태백탄광지역, 농공단지, 댐의 호소화, 유원지, 양돈 축사, 생활하수, 공장폐수, 해안 선박장,
양식업에서 강을 오염시키는 것들
② 물의 자정작용
3. 그 때 그 모습
![]() | ![]() |
<진우도 금모래 해변에서 발견된 상괭이을 보기 위해..> | <진우도를 다녀와서....> |
![]() | |
<낙동강 물이 어떻게 오염되는지 보기 위해 직접 오염원을 수조에 넣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