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의 문화와 역사(5월)

2003년 6월 21일 | 활동소식

낙동강의 문화와 역사】


▶ 5월 12일 발대식과 삼량진 생태조사
1. 발대식
① 축하인사 : 최종석 부산녹색연합 운영위원장
② 전체일정 및 활동내용 소개
③ 현장교육 선생님 및 자원활동가 소개

2. 낙동강의 문화와 역사 (삼랑진 생태조사)
① 배후 습지 알기(수질 조사, 습지 생물 관찰, 습지의 기능)
– 기능: 생물의 서식처, 오수 정화 기능, 홍수 방지.
– 관찰된 생물: 소금쟁이, 실잠자리, 무당벌레,거미, 마름, 노랑어리연꽃, 물 수세미
– 수질 조사(이화확적 조사)
·수온: 18.5  ·PH : 6   ·COD : 10이상   ·암모니아성질소: 0.3,  아질산성 질소: 0.05 , 질산성질소: 3    ·인산성인: 0.1
② 강의 기능과 강 유역의 문화살피기
– 낙동강역, 삼랑진 철교, 낙동강과밀양강 합수머리
③ 물금 취수장 방문
– 낙동강물의 오염, 취수장의 기능
   : 취수탑, 펌프장, 중앙통제실 견학

▶ 5월 13일 사랑방 교실
1. 자기 소개
: 자연에 대한 인상깊은 추억이나 풍경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하기
   ⇒ 설명을 바탕으로 인디언 이름 지어주기
   남영주: 금정산 가재아이/ 박미혜: 안타까운 아이/ 배훈: 별들에게 물어봐/ 김은하: 기억속의 나룻터

2. 삼랑진 생태조사 정리발표
: 이화확적 수질조사결과는 4~5급수로 나왔지만 배후 습지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기준으로 했을때는 2~3급수로 생각된다.
3. 낙동강하구 소개 ; 비디오 상영「아름다운 본능」
4. 낙동강유역의 개발과 문제점

5. 그때 그 모습




















<을숙도 물 홍보관에서 진행된 발대식 모습> <100년의 역사를 가진 낙동강역사 앞에서...>
 
<배후 습지조사 내용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물금취수장의 취수탑(8M밑까지 물을 채워 놓았다고 합니다.)>
 
<겨울에 청둥오리, 재두루미, 기러기등 많은 철새들이 찾는다는 삼랑진의 배후습지.> <열정적인(?) 강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