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 명지대교 건설 계획 공식발표 이후 경과보고

2011년 11월 26일 | 활동소식

 

부산시의 명지대교 건설 계획 공식발표 이후



1.2001년 1월 3일 부산시, 명지대교 친환경적 건설 시민단체와 합의·추진 발표 (부산일보)
    이에 1월 3일 오후 부산녹색연합 사무실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부산녹색연합, 습지와 새들의 친
구, 환경을 생각하는 부산교사모임 3단체가 명지대교 건설로 인한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훼손 반대운동을 펼치기로 결정.
2. 1월  5일   양정 전교조 사무실에서 1월 8일 집회 준비 및 명지대교 건설 반대를 위한 연대 제안 설명을 위한 모임 가짐.
3. 1월  8일   명지대교 건설 계획 반대 및 낙동강하구 보전을 촉구하는 항의 집회,  항의서한 전달
4. 1월 11일   문화재청에 입장요구 및 자료 발송
5. 1월 12일   부산시 민원 회신
6. 1월 16일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부산시민선언 선포식 불참 입장표명
                  항의서한에 대한 부산시 답신 : 명지대교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
7. 1월 17일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부산시민선언 선포식
8. 1월 19일   건설교통부, 환경부, 청와대, 문화재청에 의견서 발송
9. 1월 22일   건설교통부 민원회신
10. 1월 26일  문화재청 민원회신
11. 1월 27일  환경부 민원회신
12. 1월 31일  부산시 민원회신
13. 2월 2일
    참여단체에 연대제안 및 향후일정 보고
    롯데건설에 명지주거단지 건설발표에 대한 의견서 제출
14. 2월 3일 낙동강하구 보전 촉구대회 및 철새기행
15. 2월 5일
    부산시에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시민토론회’ 주제 발제 요청 → 발제거부(2
월 14일)
    문화재청에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시민토론회’ 주제 발제 요청 → 발제수락
16. 2월 9일  녹색연합 전국조직 긴급 사무국장단회의 : 명지대교 공동대응 결의, 성명서 발표
17. 2월 11일  뜻을 같이하는 시민단체 대상으로 낙동강하구 현장 소개
18. 2월 12일
     문화재청에 ‘낙동강하구생태계보전과 명지대교 건설계획’에 대한 질의문 발송
     부산시청에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에 대한 질의문 발송
19. 2월 15일  가톨릭 우리농촌살리기운동 부산본부 동참 결정
20. 2월 20일  부산시 및 문화재청에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시민토론회’ 참석 요

21. 2월 22일  명지대교 건설에 관한 시민공청회(23일 토론회에 대한 부산시의 대응성 긴급 공청회)
22. 2월 23일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토론회(부산녹색연합, 습지와 새들의 친구) 개최
23. 2월 26일  시민의 신문, 명지대교건설과 낙동강하구의 문제점 소개
24. 2월 28일  대통령 비서실 민원회신
25. 3월 9일   문화재청 민원회신
26. 3월 12일  문화재청 민원회신
27. 3월 18일  ‘낙동강하구를 파괴하는 명지대교 건설 저지를 위한 시민대회’
28. 3월 21일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현상변경허가 심의에 대한 서울 항의집회 및 문화재연구
소 앞 1인 시위
              성명서 발표 ‘을숙도 명지대교 건설에 대해 문화재청에 바란다.’
29. 4월 1일   ‘을숙도 명지대교 건설저지를 위한 시민연대’ 결성, 결의문 발표
30. 4월 9일 ∼ 4월 20일  정부대전청사 문화재청앞 1인 Relay 시위
     * 참가단체 : 늘푸른시민모임, 대전충남녹색연합, 부산녹색연합, 부산청년환경센터, 부산초등교
사모임, 습지와새들의친구, 우리농촌살리기운동부산본부, 인터넷-낙동강하구모임, 한살림부산공동체, 환경을생각하는부산교사모임
31. 4월 9일 ∼ 6월 4일  부산시청앞 1인 Relay 시위
     * 참가단체 : 부산녹색연합, 환경을생각하는 부산초등교사모임, 습지와새들의친구, 한살림부산
공동체, 환경을생각하는부산교사모임
32. 5월 5일   한겨레신문 독자칼럼 기고
33. 5월 13일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 교사모임 : 낙동강하구 보전과 명지대교건설 반대지지 성명서 발표
34. 5월 21일  부산을 가꾸는 모임 주최, 명지대교 건설 범시민대토론회 참가
35. 6월 3일   낙동강하구 보전을 촉구하는 부산교사 일천인 선언 기자회견
36. 6월 4일   명지대교 직선화노선 항의 부산시청앞 1인 릴레이 시위 정리
                  부산시청에 부산교사일천인 선언 및 요구문 전달
37. 6월 5일   문화재청에 부산교사일천인 선언 및 요구문 전달
                  ‘환경주간에 되짚어 보는 낙동강하구의 문제점’ 발표
38. 6월 19일  국제신문 쟁점토론, 명지대교 직선화 참가
39. 7월 2일   한국일보 명지대교 관련 기고(습지와 새들의 친구)
40. 7월 12일  부산시의 명지대교에 관한 자문회의 비밀 개최에 대한 항의 및 의견서 전달
41. 7월 16일  명지대교 홍보를 위한 사진전 개최
42. 7월 17일  명지대교 건설저지를 위한 시민문화공연 개최
43. 7월 24일  낙동강하구 총체적 위기에 대한 부산 제 시민사회단체 환경선언 및 확대재편성에 관
한 기자회견
44. 8월 5일  문화재청, 명지대교에 대한 문화재위원토론회에 을숙도연대 토론자 추천 요청
45. 8월 6일   명지대교에 대한 문화재위원 토론회에 을숙도시민연대 박중록 추천
46. 8월 18일  명지대교 직선형 건설 범시민추진위 발족
47. 8월 20-21일 낙동강하구 진우도 생태 학교 개최 ; <우리가 만드는 금모래학교>
48. 8월 22일  낙동강하구(명지)대교가 생명평화로 거듭나기를 염원하는 을숙도 연대 기자회견
49. 8월 23-24일  낙동강하구 생태계 한일공동조사 실시
50. 8월 24일  24시간 갯벌상주 1인 시위 시작
             부산시와 우회안에 합의하였던 부산환경운동연합, 낙동강공동체, 낙동강보전회 연대 직선화반대 결의 및 공동 대응 결의
             명지대교 TV 토론 출연 (부산MBC, PSB)
51. 8월 25일  한일공동조사의 일본조사단과 의견서 제출을 위해 부산시청 방문
              부산 행정부시장의 을숙도연대와 국제연대에 대한 부정적 발언에 대한 성명서 발표
              일본조사단, 환경연합 전국활동가 갯벌 시위 지지방문 및 규탄대회
52. 8월 26일  낙동강하구 보전을 촉구하는 부산시민 대기행
53. 8월 27일  녹색연합 전국 활동가 집회
                   명지대교에 대한 문화재위원 전문가 토론회 참가, 발표
54. 8월 28일  부산시청앞 규탄 대회
55. 8월 29일  문화재위원 심의에서 결정 유보, 추가 자료 요구.
56. 9월 10일   문화재청 보완자료 작성 제출. 외국전문가 및 이기섭박사 등 자료 협조.
57. 9월 12일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국장 면담
58. 9월 17일~9월 19일  전교조 각 지회 방문, 서명 및 인터넷 시위 협조 요청.
59. 9월 18일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면담, 보전 요청.
60. 9월 19일   문화재청 임시회의, 자료 검토 후 유보.
61. 10월 8일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산지회 명지대교 백지화 성명 발표
62. 10월 26~27일  전교조 전국 집회 참가, 명지대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