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에 도래하는 희귀종

2011년 11월 26일 | 활동소식

☞ 낙동강하구에 도래하는 희귀종

   가. 천연기념물
   -> file 참조

   나.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종(2000년 환경부 지정)
    ① 멸종위기종 : 11종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혹고니, 흰꼬리수리, 참수리, 검독수리, 매, 두루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② 보호종 : 29종(31종)
      아비(회색머리아비, 큰회색머리아비), 쇠가마우지, 알락해오라기, 큰덤불해오라기, 흑기러기, 큰기러기, 개리, 큰고니, 고니, 가창오리, 물수리, 솔개, 털발말똥가리, 큰말똥가리, 말똥가리, 항라머리검독수리, 흰쭉지수리, 독수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개구리매, 흑두루미, 재두루미, 뜸부기, 느시, 검은머리갈매기, 고대갈매기

다. IUCN의 적색자료서의 기준 및 범주에 속하는 종
    ① IUCN의 적색자료로서의 기준 및 범주에 속하는 종 : 11종
     황새, 가창오리, 개리, 붉은가슴흰쭉지, 참수리, 두루미, 흑두루미, 재두루미, 알락뜸부기, 청다리도요사촌, 검은머리갈매기
    ② 준위협종(Non-threatened) : 5종
     큰덤불해오라기, 원앙이, 알락꼬리마도요, 고대갈매기, 쇠검은머리쑥새

  라. 낙동강에서 처음으로 기록하고 한국조류목록에 등재한 종 : 4종
   고대갈매기, 수리갈매기, 붉은발제비갈매기,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
















<참고문헌>
이종남. 2000. 낙동강하구의 조류와 최근의 변동사항. 낙동강하구·갯벌 생태계
한·일공동 비교 심포지움, p.35∼41.
우용태·이종남. 2000. 낙동강하구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보고서. 부산광역시.
우용태·성정숙. 2000.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 낙동강 하구. 환경부, p.141∼142.
백운기 外 9인. 2000. 천연기념물 조류의 월동 실태조사
이위수·박중록. 2001. 낙동강하구 문화재 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