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호만 매립사업 승인 부관을 보면 ‘매립사업 시행에 대한 주민의 동의를 전제로 환경영향 예측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주민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동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여야함’ 이라고 명시되어있다. 그러나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이러한 조건을 해결하지 못한 부산시에 사업실시계획인가를 해주었다. 지난 3월과 4월에 두 차례의 항의 집회를 가졌고 계속하여 반대의견을 전달했는데도 불구하고 인가가 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
또한 6월 15일 인가가 났음에도 주민들에게 알리지도 않다가 한 달 이상이 지난 어제인 7월 26일에야 용호만 공유수면매립공사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설명회장에서 분개한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부산녹색연합은 다시 한 번 강력하게 항의 한다.
1. 교통난 해소라는 말은 거짓이다.
용호만 매립사업은 도로확충을 통해 교통난 해소라고 이번에도 또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지금의 도로로도 충분하고 49호 광장으로 이어지는 계획도로는 지금도 병목현상으로 혼잡한 이 지역의 교통난을 더 가중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시는 답변을 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부산시의 말을 믿지 않으며 도로가 필요 없다고 하니 즉각 사업은 취소되어야 한다.
2. 기업을 위한 땅장사는 용납할 수 없다.
부산시가 주장하는 사업의 목적 중 녹지공간 확보와 친수․ 친환경적 워터프론트조성이라며 녹지공간을 부각시키려했다. 그러나 LG메트로시티 분양 당시 공공용지였던 부지가 아파트부지로 바뀌면서 시민을 위한 공간을 빼앗아 놓고선 다시 녹지,공공시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하니 매립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계획상의 가용용지는 누가 보아도 40~50층의 고층아파트가 들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용호만 매립을 하는데 드는 비용 이상의 이윤이 남지 않는 다면 어떤 기업도 이 사업에 뛰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지구단위계획을 할 것이므로 그런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짓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3. 거짓말만 일삼는 공무원들은 주민들을 더 이상 우롱하지 마라.
주민이 건설공무원과의 통화내용에서 공공시설은 하수처리장, 상업근린 시설은 아파트가 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설명회장의 건설본부 토목과장은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한다. 수영만과 민락동 매립지에서 있었던 난개발도 처음엔 계획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을 거치면서 난개발은 이루어졌다. 주민들은 더 이상 부산시의 말을 믿지 않는다.
4. 찬성하는 주민의 의견은 없었다.
이번 설명회에선 주민들은 ‘후에 더 고통스러운 삶을 살지 않기 위해서 지금 현재 조금 불편한 것이 더 낫다. 우리 아이들에게 조금이라도 자연을 살아있게 하여 물려주고 싶고 용호동 주변의 이기대가 위협 받는 더 이상의 매립은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용호동 일부 주민을 회유하여 찬성자도 많다고 하지만 설명회에선 찬성 의견은 나온 것이 없다. 부산시의 회유와 억측으로 만들어낸 찬성론은 인정 할 수 없다.
주민들이 요구하지 않고 동의하지 않는 사업에 국고를 들여가며 사업을 하려하는 부산시와 이를 허가한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각성하여야한다. 또한 다시 한 번 주민들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여 용호만 매립사업을 즉각 취소하여야 한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행정을 계속한다면 우리는 묵과하지 않을 것이며 그 대가를 치루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