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하천학회 전국순회 특별세미나 <낙동강 부산토론회>

2009년 11월 6일 | 공지사항





 


정부의 낙동강사업은 물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


정부의 낙동강사업이 착공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이명박정부는 절차적 문제나 실질적 결함에 관한 사회적 공론화는 최소화하고, 충분한 설명과 설득도 없이 초지일관 밀어붙이는 형국입니다. 보와 준설이 핵심인 낙동강사업을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자 했던 정부의 주장은 수질 모델링 결과, 상반된 사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부의 주장대로 낙동강사업을 통해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겠다는 주장은 시민들에게 낙동강 물문제의 불신만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또 지난 20년 넘게 낙동강 수질오염의 근본적 원인으로 제기되어 온 하굿둑이 그 기능과 역할에 관한 현재적 재평가와 반대로 추가 건설될 예정입니다. 수질 뿐만 아니라 강의 환경과 생태계에 근본적 폐해를 유발하는 하굿둑의 추가건설에 관해 이렇다할 사회적 논의는 전무한 채 정부의 계획대로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문제와 영향은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대한하천학회는 지난 10월초 진주토론회에 이어 부산에서 낙동강 먹는 물에 관한 대안적 접근과 함께 진정한 낙동강 살리기를 위한 모색을 위해 부산 행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 부산토론회에서는 가속화되는 기후변화 위기시대에 녹색 포장의 퇴행적 낙동강사업에서 저탄소 정책에 부합하는 선도적 하천정책으로 전환을 또다른 화두로 잡았 보았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부산토론회를 통해 정부의 낙동강사업과 시민들의 먹는 물 문제의 상관을 알아보고, 예방적 대안을 찾아보는 활발한 시민 공론의 장이 보다 많은 분들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취재와 보도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낙동강 부산토론회 ‘낙동강사업은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


 


▢ 행사명: 낙동강 부산토론회


▢ 주제: 낙동강사업은 부산의 물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


▢ 일시: 2009년 11월 6일(금) 오후 2시~5시


▢ 장소: 부경대학교 18호관 307호


▢ 주최: 대한하천학회・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후원: 낙동강국민연대


▢ 프로그램


14:00-14:05 개회


14:05-14:30 기조발제


14:30-15:10 주제발표1


15:10-15:40 지정토론


15:40-15:55 자유토론


15:55-16:05 휴식


16:05-16:25 주제발표2


16:20-16:50 지정토론


16:50-17:00 자유토론


17:00- 폐회





 


▢ 세부 프로그램











[기조발제] <20분>


기후변화시대 하천정책의 올바른 길_ 김 승 박사(수자원의지속적확보기술개발사업단장)


[주제발표.1] <각 20분> 좌장_ 김좌관 교수(부산가톨릭대 환경공학과)


4대강사업으로 본 광역상수원의 문제_ 박현건 교수(진주산업대 환경공학과)


부산의 물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_ 신성교 선임연구원(부산발전연구원)


[지정토론] <5분>


이병헌 교수(부경대 환경시스템공학부)


윤태경 교수(동의대 환경공학과)


박재태 급수부장(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구자상 공동대표(부산환경운동연합)


최소남 회장(부산여성단체협의회)


이환문 사무국장(남강댐수위상승반대경남대책위원회)


[주제발표.2] <20분> 좌장_ 조경제 교수(인제대 환경공학부)


하굿둑은 낙동강을 살릴 것인가_ 박청길 명예교수(부경대 환경시스템공학부)


[지정토론] <5분>


이남주 교수(경성대 토목공학과)


오인석 관리팀장(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


노재갑 보좌관(조경태 국회의원)


김영주 대표(서부산시민협의회)


박중록 대표(습지와새들의친구)


최수영 사무처장(부산환경운동연합)


※ 위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2009년 11월 5일


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