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성명서

명지대교가 생명,평화로 되살아나기를 염원하는 을숙도연대 성명서

우리는 모두 낙동강하구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고 있다.   '신이 내린 축복의 땅 낙동강하구'라고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소중한 자연유산이 부산에 있음에 대해 커다란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을숙도 시민연대 뿐만 아니라 침묵하는 대다수의 부산시민, 그리고 부산시조차 공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의 중요성과 보전의 필요성을 깊이 동감하고 있으며, 우리의 과제는 부산시민이 얼마나 현재와 미래의 건강한 생태계를...

낙동강하구 생태계, 한·일 공동조사 실시중

  낙동강하구 생태계의 건강성은 저서생물의 다양성에 달려 있으며, 이를 알 수 있는 지표는 조류이다. 얼마나 다양한 조류가 낙동강하구를 찾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낙동강하구에 얼마나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저서생물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는 낙동강하구의 생태계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인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조사와 보전을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문화재청, 명지대교에 대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도 1인 참여전문가로 위촉  그 동안 명지대교 허가여부를 유보하고 있던 문화재청이 최고심의기구인 문화재위원들의 요청에 따라 를 8월 27일 개최한다.  문화재위원들의 이 같은 요청은 이제껏 유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들의 심적부담을 반영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에 대해 신중을 기하려는 문화재위원들의 태도는 명지대교의 반생명성·파괴성과 이로 인한 낙동강하구문화재보호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녹색평론 기고문 : 을숙도 명지대교 건설을 반대한다

낙동강하구가 개발과 보전이라는 논리 앞에서 다시 한번 위기를 맞고 있다. 부산시가 명지대교 건설계획을 강행하면서 지난해부터 반대하는 시민환경단체와 끊임없이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시는 낙동강하구에 대한 보전의 요구가 강해지자 한편으로는 낙동강하구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전의 의무를 선언하면서, 그 이면에서는 개발에 대한 욕구를 강력히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부산시의 이중적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 바로 명지대교 건설 계획이다. 부산시는 환경친화적인 다리를 건설하겠다고...

낙동강하구 총체적위기에 대한 부산시민환경선언 기자회견

낙동강하구 총체적위기에 대한 부산시민환경선언및 을숙도 시민연대 확대재편성 기자회견을숙도 명지대교를 중심으로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공감대의 형성과 관심에 힘입어 참가하는 시민단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부산정토회, 전교조, 민주노총, 부산부산정보연대, 부산빈민연대회의, 민중연대, 문예패들이 연대참가를 결정하여 총 57단체(부산 26단체)가 연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관심과 요구를 모아 는 7월 24일 기자회견을 가지고 과 의 구체적 내용을...

시민과 함께 하는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집중 행사 계획

을숙도 명지대교를 중심으로 낙동강하구 보전을 위한 노력이 더욱 활기를 띄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시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어가면서 관심을 갖고 참가하는 시민단체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부산정토회, 부산정보연대, 부산빈민연대회의 6개 단체, 민중연대, 극단 새벽, 노래모임 참다운이 연대참가를 결정했으며, 전교조 부산지부가 오늘(7/16) 중으로 결정을 내릴 예정이며, 민주노총 외 몇 단체가 긍정적인 고려를 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관심과 요구를 모아 는 7월 16일 ∼...

부산시의 명지대교 자문회의 비공개에 대한 경과 보고

부산시는 7월 12일 2시, 7층 영상회의실에서 자문회의를 가지기로 하고, 문화재위원을 비롯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기로 계획하였다. 이에대해 을숙도명지대교 건설저지를 위한 시민연대는 1시 30분 부산시청에서 만나 자문단에 대해 우리의 입장 및 명지대교에 대한 의견서를 전달하고 방청을 요청하기 위해 영상회의실로 찾아갔다.그러나 회의실은 굳게 문이 잠겨있었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없었다. 회의방문전 잠시 시간을 내어 1인 시위를 하고 있는 모습 시청쪽에선 처음에 이곳에서는...

부산시는 비밀스런 명지대교 자문회의 중단하고, 시민공청회를 개최하라!!

 부산시는 명지대교 재현상변경허가와 관련하여 문화재위원인 우한정 박사를 비롯하여 전문위원과 명망있는 습지·조류 전문가에 대한 직접 방문에 이어 오늘(7월 12, 목) 14:00부터 부산시청 7층 영상회의실에서 자문회의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대해 부산시는 낙동강하구관리협의회가 있음에도 어떠한 공유도 가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6월 10일 낙동강하구관리협의회에서 부산시는 전혀 무관하며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이 자체적으로 가지는 회의라고 협의회 위원들에게...

부산시 비밀리에 명지대교 자문회의 개최

  부산시는 명지대교 재현상변경허가와 관련하여 문화재위원인 우한정 박사를 비롯하여 전문위원과 명망있는 습지·조류 전문가에 대한 직접 방문에 이어 오늘(6월 12, 목) 14:00부터 부산시청 7층 영상회의실에서 자문회의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대해 부산시는 낙동강하구관리협의회가 있음에도 어떠한 공유도 가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6월 10일 낙동강하구관리협의회에서 부산시는 전혀 무관하며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이 자체적으로 가지는 회의라고 협의회...

직무유기와 관리부실로 파괴되어가는 고층습지

녹색연합과 부산녹색연합은  환경부의 직무유기와 관리부실로 생태적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낙동정맥  정족산∼천성산 일대의 고층습지가 훼손되어가는 현장을 조사하여 보고한다.1. 천성산 화엄늪 고층습지 파괴현장  환경부는 지난 99년부터 천성산 화엄늪의 실체를 알고 있었으면서도 일체의 보전을 위한 조사나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보호를 위한 노력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기본적인 실태 파악조차  하지...

환경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환경관련부서장 의식조사 결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환경관련부서장 의식조사 결과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94.7%)는 높다.  - 경제적 어려움에 따른 환경정책의 변화에 대한 입장은 환경정책이 우선 순위가 변함없어야한다는견해(46.8%)와 우선 순위를 더높여야 한다(52.6%)는 견해가 나옴.  - 지방자치단체의 환경보전에 대한 태도는 적극적인 지역개발에 비중을 둔다(52.7%)고 생각    - 다음...

기장군 연화지구 조사 보고 및 바위해변의 중요성 고찰

  기장군 연화리의 해변 생물상1. 출현 종    연화리 해변의 암반 및 자갈 조간대에 서식하고 있는 해산 무척추동물은 총 4개 분류군에 속하는 37종 (해조류 및 미세동물 제외)으로 전체 부산 해변의 조간대 무척추동물 출현 양상과 비교해 비교적 다양한 종들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출현 분류군의 우점 양상을 살펴보면, 총알고둥 (Littorina brevicula)등이 속하는 연체동물류가 총 21종이 출현하여 연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