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성명서

AID아파트 53층 초고층 설계(안)을 폐기하라!

AID아파트 53층 초고층 설계(안)을 폐기하라!2006년 12월 20일 부산일보 기사에 따르면 해운대구 중동 AID 주공아파트의 설계공모전에 부산 소재 한미녹원종합건축사사무소와 미국 GDS아키텍츠사가 공동으로 설계한 작품이 선정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당선작은 최저 21층에서 최고 53층 높이로 총 18개동이고, 용적률은 231%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그간 부산시와 해운대구청이 부산과 해운대를 대표하는 달맞이 지역의 난개발을 우려하며 해운대주공AID 아파트...

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관련 경과

■ 낙동강하구 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관련 경과9월 3일 : 하구둑 경관조명 설치와 조절 방류에 관한 설명회 개최         (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 )9월 4일 : 경관조명 설치에 대한 습지와새들의친구 성명서 발표9월 6일 : 경관조명 관련 설명회 (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9월 8일 : 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장 면담, 부산MBC TV 경관조명 관련 토론회 개최9월20일 : 경관조명 설치 철회를 촉구하는...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반대 성명서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성명서  1. 낙동강하구둑 야간경관조명 설치 계획은 입증되지 않은 용역보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용역을 수행한 경성대 우용태 조류관장은 야간 조명이 새들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언할 수 있는 전문가로 보기 어렵다. 2. 조명의 증가는 새들의 서식을 방해한다  야간조명의 설치로 불빛이 증가하면 새들의 서식환경이 악화된다는 것은 생물학적 상식이다. 이는 경관조명을 설치하려는 하구둑...

(의견서)나무섬 개발에 관한 부산녹색연합의 입장

목도 종합해상공원 조성에 대한 입장 「영도 등대 ․ 무인도서 목도의 관광 실용화 방안 발표회 ․ 공청회」가 2006년 8월 18일 부산대학교 「인덕관」에서 열렸다. 그리고 10월 13일 최종 보고서가 나왔는데 중간보고 때의 내용과 달라진 것이 없다. 영도 등대 부분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므로 차치하고 목도관광개발에 관한 내용은 한마디로 아연실색(啞然失色)이란 말로 표현하고 싶다.1. 생태 조사가 개발을 위한 형식적 것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식물이...

[동생말] 유원지 조성계획 취소하고 복원 대책 강구하라

중금속 오염된 동생말, 유원지 조성계획 취소하고 복원대책 강구하라 동생말 지구 중금속으로 오염된 것으로 판명되다9월 22일(금) 부경대학교에서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BETEC) 연구과제 중간발표가 있었다.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신현무 교수의 연구과제 중간발표에 따르면, 동생말 지구(섭자리 부근,구 동국제강 산업폐기물 매립지)는 중금속(카드뮴) 오염이 심각하며 복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간의 토양오염조사 거짓임이 드러나다그동안 부산시,...

동생말 중금속 오염

[보도자료] 동생말 중금속 오염 밝혀지다9월 25일(금) 부경대학교에서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BETEC) 연구과제 중간발표가 있었습니다.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신현무 교수의 연구과제 중간발표는 좌중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기대 용호광산 토양오염 조사 결과 동생말 지구(섭자리 부근,구 동국제강 산업폐기물 매립지) 중금속(카드뮴) 오염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더 놀라운 것은 신현무 교수 조사결과(※파일첨부)와 부산시,남구청 토양오염조사 결과(부산보건환경연구원 자료)가...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기자회견문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대한 환경파괴 행위이다부산시와 사하구청, 문화재청, 수자원공사는 낙동강하구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경관조명 설치계획을 즉각 철회하라!1. 경관조명 설치와 관련한 경과   - 2004년 부산시는 야간경관 기본계획에 대한 용역을 실시하였고 사하구는 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대상 추천을 부산시에 요구 하였다.  - 2005년 사하구는 부산시장 초청 '사하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