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반대 성명서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성명서  1. 낙동강하구둑 야간경관조명 설치 계획은 입증되지 않은 용역보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용역을 수행한 경성대 우용태 조류관장은 야간 조명이 새들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언할 수 있는 전문가로 보기 어렵다. 2. 조명의 증가는 새들의 서식을 방해한다  야간조명의 설치로 불빛이 증가하면 새들의 서식환경이 악화된다는 것은 생물학적 상식이다. 이는 경관조명을 설치하려는 하구둑...

(의견서)나무섬 개발에 관한 부산녹색연합의 입장

목도 종합해상공원 조성에 대한 입장 「영도 등대 ․ 무인도서 목도의 관광 실용화 방안 발표회 ․ 공청회」가 2006년 8월 18일 부산대학교 「인덕관」에서 열렸다. 그리고 10월 13일 최종 보고서가 나왔는데 중간보고 때의 내용과 달라진 것이 없다. 영도 등대 부분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므로 차치하고 목도관광개발에 관한 내용은 한마디로 아연실색(啞然失色)이란 말로 표현하고 싶다.1. 생태 조사가 개발을 위한 형식적 것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식물이...

[동생말] 유원지 조성계획 취소하고 복원 대책 강구하라

중금속 오염된 동생말, 유원지 조성계획 취소하고 복원대책 강구하라 동생말 지구 중금속으로 오염된 것으로 판명되다9월 22일(금) 부경대학교에서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BETEC) 연구과제 중간발표가 있었다.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신현무 교수의 연구과제 중간발표에 따르면, 동생말 지구(섭자리 부근,구 동국제강 산업폐기물 매립지)는 중금속(카드뮴) 오염이 심각하며 복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간의 토양오염조사 거짓임이 드러나다그동안 부산시,...

동생말 중금속 오염

[보도자료] 동생말 중금속 오염 밝혀지다9월 25일(금) 부경대학교에서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BETEC) 연구과제 중간발표가 있었습니다.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신현무 교수의 연구과제 중간발표는 좌중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기대 용호광산 토양오염 조사 결과 동생말 지구(섭자리 부근,구 동국제강 산업폐기물 매립지) 중금속(카드뮴) 오염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더 놀라운 것은 신현무 교수 조사결과(※파일첨부)와 부산시,남구청 토양오염조사 결과(부산보건환경연구원 자료)가...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 반대 기자회견문 낙동강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대한 환경파괴 행위이다부산시와 사하구청, 문화재청, 수자원공사는 낙동강하구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경관조명 설치계획을 즉각 철회하라!1. 경관조명 설치와 관련한 경과   - 2004년 부산시는 야간경관 기본계획에 대한 용역을 실시하였고 사하구는 하구둑 경관조명 설치대상 추천을 부산시에 요구 하였다.  - 2005년 사하구는 부산시장 초청 '사하발전...

[이기대]콘크리트 복구공사 계획 철회하라

이기대 파괴하는 철회하라부산 남구청은 이기대 해안산책로[(1)해녀막사 맞은편 절벽과 (2)백련사 아래 낙석위험지역]에 12월부터 3억4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피해복구 공사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지난해 태풍 나비로 이기대 기암절벽이 무너지면서 산책로(목재 데크) 일부분이 붕괴됐기 때문이다. 복구공사 대상 1지역인 에 높이18m, 길이30m 규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속에 철재 지지대 4~5개를 설치한다고 한다. 철재 지지대 설치를 위한 암반 굴착 작업은 이기대의...

[나무섬 관광연계방안]<연계>라는 이름의 <개발확장>을 따져보아야 한다

'연계'라는 이름의 '개발 확장'을 따져보아야 한다-나무섬 생태조사를 마치고-가 8월 18일 부산대학교 인덕관에서 열렸다. 부산소재 5개 대학 10인의 교수가 발표할 '나무섬 관광연계방안'에 대해 궁금함을 품고 공청회에 참석했다. 그러나 그토록 궁금해 했던 발표 내용은 아연실색啞然失色으로 밖에 표현되지 않는다. “식물 77종”이라는 것 외에는 기본적인 생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관광개발로 인한 조류, 특히 철새 이동에 미칠 영향을 간과한 점은 기본이 안 된 '나무섬(목도)...

(논평)목도 종합해상공원 조성에 대한 우려

목도 종합해상공원 조성에 대한 우려「영도 등대 ․ 무인도서 목도의 관광 실용화 방안 발표회 ․ 공청회」가 2006년 8월 18일 부산대학교 「인덕관」에서 열렸다. 영도 등대 부분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므로 차치하고 목도관광개발에 관한 내용은 한마디로 아연실색(啞然失色)이란 말로 표현하고 싶다. 식물이 77종이라는 사실(봄에만 제한적으로 실시함) 외에는 기본적인 생태 조사(서식 동물, 조류, 철새 이동 시의 기능, 개발로 인한 환경적 파급 영향...

(논평)<명지대교 건설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보고>

명지대교 건설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보고 인제대 환경공학부 조경제 교수 지난 1993년 도시계획 시설 결정 이후 13년을 끌어오던 낙동강 하구의 명지대교 문제가 법원의 기각 결정으로 일단락되는 듯하다. 부산녹색연합 시민단체가 낸 '명지대교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에 대하여 부산지방법원 1심과 고등법원 2심에서 기각되었다. 최근 새만금 간척사업이 대법원에서 각하된 바 있고 천성산 고속철도 터널 분쟁에서도 원고 시민단체가 패소함으로서 주요 환경분쟁이 하나같이 법원에서 패소하는...

위험에 처한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조성계획 변경(안)에 관한 의견서이기대 도시자연공원의 생태적 가치 이기대 공원은 기암절벽, 자연해안선이 살아있는 곳이다. 부산에 몇 곳 되지 않는 자연해안선 지역으로 각종 매립과 개발로 파괴된 여타 지역과는 다른 곳이다. 생태적 보존 가치 있는 곳으로 더 이상 개발해서는 안되는 곳이다. 부산의 명소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이 곳을 시민의 의사와 상관없이 개발(유스호스텔,박물관 등 건립)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