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부산DRMO 반환미군기지, 다이옥신 검출

부산DRMO 반환미군기지, 다이옥신 검출

2015년 반환 이후 4년 간 방치 - 2018년 환경부 정밀조사에서 다이옥신 검출 - 용산기지도 미래 암울, 국가 오염공원 될수도 - 용산공원특별법 전면 재검토 필요 반환 미군기지에서 다이옥신이 검출됐다. 부산 DRMO(Defense Reutilization and Marketing Office 주한미군 물자 재활용 유통 사업소, 이하 DRMO)다.  도심 한복판에서 다이옥신이 나온 것이다. 다이옥신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인천 부평 캠프마켓에 이어 두 번째다....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응, 소득재분배에 역행하는 전기요금 누진세 개편안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응, 소득재분배에 역행하는 전기요금 누진세 개편안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응, 소득재분배에 역행하는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 – 여름철 폭염을 막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 정부는 지난 3일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을 위한 3가지 안을 발표했다. 1안은 누진체계를 유지하되, 여름철에만 별도로 누진구간 상한을 확대하는 안이다. 2안은 요금이 가장 높은 누진제 3단계 구간을 여름철에 2단계 요금으로 낮추는 안이다. 3안은 누진제를 폐지하고 연중 단일 요금제를 부과하는 안이다. 유감스럽게도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3가지...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교량건설을 즉각 중단하라.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교량건설을 즉각 중단하라.

더 이상 보호구역을 허물지 말라. 보호구역은 미래세대의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다.   부산시가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179호)에서 추진 중인 대저대교, 엄궁대교, 장락대교와 3개 내수면 마리나건설 계획은 보호구역의 숨통을 끊는 그야말로 무책임한 개발계획이다. 지금의 건설 계획은 그나마 남아있는 보호종, 큰고니들의 핵심 서식처를 관통한다. 이미 낙동강하구를 찾는 고니는 모두 사라졌고, 년 평균 3천마리가 도래하던 큰고니 낙동강하구를 찾는 고니는...

2019 세계환경의 날을 맞아

2019 세계환경의 날을 맞아

       ■ 세계환경의날 기념 부산환경시민대회 대회명 : 민선7기 환경도시부산 어디로 가고 있나? 부산환경시민대회 일 시 : 6월 5일 10시 30분~11시 30분 장 소 : 부산시청앞 광장 주 최 : 부산환경회의 발언 1) 공원일몰제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 2) 부산시민공원 공공성-민은주 부산환경운동 사무처장 3) 대저대교 –최종석 부산녹색연합 운영위원 4) 하굿둑-최대현 낙동강하구기수생태복원협의회 사무처장 5) 금정산국립공원-유진철 범시민금정산보존회 국장...

㈜부산블루코스트는 시민의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경관과 환경을   훼손하는 해상관광 케이블카 사업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부산블루코스트는 시민의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경관과 환경을 훼손하는 해상관광 케이블카 사업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부산블루코스트는 시민의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경관과 환경을 훼손하는 해상관광 케이블카 사업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부산블루코스트는 부산시에 의해 해운대~이기대 구간에 케이블카 조성사업 제안서가 반려되자 일부 시민들을 앞세워 자금을 지원하여 해상케이블카 조성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최근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정당과 확인할 수 없는 단체나 산악회의 이름까지 빌려 펼침막을 일제히 내걸었고 지난 4. 29일에는 특정 지역의 주민들을 모아놓고 ‘부산 해상관광케이블카...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파괴하는 교량, 마리나건설 계획 철회하라!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파괴하는 교량, 마리나건설 계획 철회하라!

지금과 같은 무분별한 개발이 계속된다면 빠르면 백년, 늦어도 2백년 이내에 이 지구에서 인간이 사라지게 된다고 한다. 날로 짙어가는 미세먼지, 일상화된 이상 기후를 보면 이러한 위기를 실감하게 된다. 세계 최고의 자연유산으로 일찌기 철새도래지로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낙동강하구에서도 그러한 징조가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 해마다 3,4천마리가 찾아와 번식하던 쇠제비갈매기는 완전히 사라져버렸고, 낙동강하구를 대표하는 겨울새 고니는 그 수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 지구의 날

2019 지구의 날

지구를 위한 부산시민의 약속 송상현광장~ 부산시민공원까지 퍼레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