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0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 (9/6 신호갯벌, 10/4 이기대 몰운대)
블로그
7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7/5)
7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7/5)
5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5/3)
5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5/3)
4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4/5 가덕도)
4월 생명학교 활동사진입니다.(4/5 가덕도)
10월 낙동강하구생명학교 – 김해 화포습지생태공원으로 출발!
언제: 2015년 11월 1일 어디에서: 김해 화포습지생태공원 무엇을: 화포습지 생물들 만나기 준비물: 도시락,마실물넉넉히 일정 : 시간 내용 9시 45분 출석체크 및 이름표 나누기 10시 김해 화포습지로 출발! 10시 40분 김해 화포습지 도착. 화포습지 산책 11시 30분 맛있는 점심시간 12시 30분 자유 시간, 생태학습관 구경 1시 20분 생태 체험 선생님 만날 준비 1시 30분 생태 체험 시작~ 3시 30분 차로 이동! 3시 45분 부산진역으로 출발 4시 25분...
<2015 시민공감 100인 시민원탁회의> 참여
2015년 10월 14일 2시부터 5시까지 를 주제로 한 시민 100명이 모인 시민원탁회의가 열렸다. 부산시, 상수도본부, NGO활동가, 여성, 소비자, 시민, 청년 등 먹는물 이해당사자 100명이 모인 자리였다. 회의의 목적은 부산의 먹는 물 문제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이 참여와 소통을 통해 먹는물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발표하고 공유함으로써 시민이 공감하는 정책을 발굴하고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먼저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 김좌관, 상수도본부 수질팀 김용순씨의...
9/20(일) 송정 구덕포
9/20(일) 송정 구덕포참가자 : 권세진, 조진경, 조진위, 김동현, 이동기, 박준형, 이동혁, 김승태, 이도균, 강나리, 반채린, 장운정, 김성훈, 신정철, 서상훈, 전상준, 엄재혁, 정인영, 정현정, 이민주, 정지원, 권일환, 윤지호, 허재균, 정병규, 강 경우, 김재민, 신정현, 이종윤, 김명진, 송진우, 앙재민, 김도형, 최현호, 김동균, 권후성, 박유민, 곽도희, 고시몬, 서세곤, 남기성(운영위원), 김승홍(활동가), 전시현(활동가) 총 43명...
<바이오블리츠 부산 2015- 수영강> 최종평가회
2015년 9월 5일부터 6일까지 이 열렸습니다. 전문가, 시민을 포함한 생태탐사단 180명과 스텝 15명으로 총 195명이 참석하였어요. 이 날 조사한 생물들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분류수식물332곤충61균류34어류16조류20저서성 무척추동물39거미19양서파충류4포유류4합계529 이 결과를 향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토의도 있었는데요.첫째, 보도자료를 작성해 언론에 보낸다.둘째, 웹기반 마이크로 페이지를 만들어 종 목록 결과를 일반에게 공개한다.셋째,...
9월 낙동강하구생명학교-도심속 갯벌 신호
도심속 갯벌-신호리 생물친구만나기-언제: 2015년 9월 6일-어디에서: 신호갯벌-무엇을: 도심갯벌 신호리 생물친구 만나기-준비물: 도시락,마실물넉넉히,모종삽 또는 숟가락,여벌옷,여벌신(장화가능),수건 등-함께하는 하루시간내용그리고주의9:10부산진역 도착 9:10~9:20출석체크 후 출발간단한 인사와 공지사항나누기. 아이들챙기기 9:20~10:10이동일정공지 및 탐사보고서 나누기10:10~11:10도심 속...
[8월 28일, 국립공원위원회 설악산 케이블카 강행에 대한 전국녹색연합 공동성명서]
[8월 28일, 국립공원위원회 설악산 케이블카 강행에 대한 전국녹색연합 공동성명서] 전국녹색연합은 설악산으로부터 시작될 전 국토 난개발을 온몸으로 막을 것이다.- 국립공원위원회의 설악산 케이블카 표결 강행은 원천 무효다!- 환경부의 영혼을 팔고 국립공원을 포기한 환경부장차관은 즉각 사과하고 공직을 떠나라!- 문재인 대표와 최문순 강원도지사, 새누리당과 새정연 대표단의 책임을 끝까지 따질 것이다!- 정권 내내 불어 닥칠, 박근혜 정부의 산지개발정책을 온...
바이오블리츠부산2015-수영강
(최종-수정본0825)2015 부산 바이오블리츠 수영강-일정표.hwp 바이오블리츠부산2015-수영강
착한에너지 기행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착한에너지 기행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기후변화시대를 맞이하여 에너지 소비층인 우리~이제부터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그 답을 찾아 함께 떠나요~ 1.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탈핵운동 –정수희 (에너지정의행동 활동가) 한국의 에너지정책과 대안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처장 ) 녹색에너지전환-독일시민운동의 역사 –전진성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에너지자립마을 국내외 사례- 이유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국내에너지자립마을...